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29 [SpringBoot] API 상태코드, HTTP 헤더, 콘텐츠 네고시에이션, 쿠키, 캐시 이쁘게 그림도 넣고 설명하고 싶지만 지금은 공부만 하는걸로도 시간이 부족하다.. 일단 설명만,, 김영한의 모든 개발자들을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20240215 - HTTP 메소드 활용 ㄱ) 데이터 전달 방식 : 쿼리 파라미터, 바디 ㄴ) 정적데이터 조회, 동적데이터 조회, html form 전송, http api 로 전송 - API 설계 예시 - API 상태코드 ㄱ) 2xx : Successful 정상처리. 200 OK, 201 Created 생성됨, 202 Accepted 요청은 잘 받았지만 아직 완료되지 않음 ex 배치, 204 No Content 정상처리 했고 클라이언트에게 추가로 보낼 바디 없음 ex 작성 중 저장. ㄴ) 3xx : Redirection 추가조치 필요. .. 2024. 3. 18. [SpringBoot] @Bean, @Autowired, TCP, UDP, URI, HTTP 메소드 이쁘게 그림도 넣고 설명하고 싶지만 지금은 공부만 하는걸로도 시간이 부족하다.. 일단 설명만,, 김영한의 스프링 핵심 원리 기본편 20240201 - 컴포넌트 스캔과 의존관계 자동 주입 - @Configuration : 싱글톤 보장 - 수동 빈등록 : @Bean - 자동 빈등록 : @ComponentScan, @Component - @Autowired : 의존관계 주입 - 의존관계 주입 방법 4가지 : 생성자 주입, setter 주입, 필드 주입, 일반 메서드 주입 20240204 - 스프링 빈으로 등록되지 않은 객체에 대한 @Autowired : required=false, @Nullable, Optional - 동일한 type의 빈을 여러개 찾은 경우 : @Autowired 필드명, @.. 2024. 3. 18. [DB] super key, candidate key, primary key, unique key, 1NF, 2NF, 3NF, BCNF 이쁘게 그림도 넣고 설명하고 싶지만 지금은 공부만 하는걸로도 시간이 부족하다.. 일단 설명만,, super key : unique하게 식별할 수 있는 컬럼을 포함하고 있는 모든 컬럼셋 candidate key(후보키) : unique한 컬럼만 가지고 있는 컬럼셋. super key는 unique하지 않은 컬럼을 포함하고 있지만, candidate key는 여기서 딱 unique한 컬럼만 가지고 있는 minimal한 super key 이다. super key ⊃ candidate key primary key(기본키) : candidate key에서 선택한 key unique key : primary key로 선택하지 않은 나머지 candidate key primary key + unique key.. 2024. 3. 18. [DB] ACID, 동시성 제어, serializabiliy, recoverabiliy, lock, MVCC, isolation 레벨 이쁘게 그림도 넣고 설명하고 싶지만 지금은 공부만 하는걸로도 시간이 부족하다.. 일단 설명만,, 데이터베이스 4가지 성질ACID - Atomicity 원자성 : 하나의 트랜잭션은 모두 반영되거나 모두 반영되지 않아야 한다. - Consistency 일관성 : 동일한 규칙을 가지고 처리되어야 한다. - Isolation 격리성 : 동시에 여러 트랜잭션이 실행되어도 각각 별개로 동작해야 한다. - Durability 영속성 : 적용된 데이터는 영구적이어야 한다. concurrency control 동시성 제어는 다음을 제공한다 - serializabiliy 직렬화가능성 - recoverabiliy 회복가능성 스케쥴 : 각 트랜잭션 내의 오퍼레이션(연산자)들의 순서(리드, 라이트, .. 2024. 3. 18. [DB] 스키마가 뭔데? 스키마는 메타데이터의 집합 입니다. 테이블이 몇개있는지테이블 명이 뭔지테이블 용량이 얼마인지컬럼이 뭐가 있는지컬럼 길이는 몇인지인덱스가 뭔지뷰가 몇개인지함수, 트리거 등등 => DB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, 즉 메타데이터의 집합 = 스키마 스키마는 db의 구조와 제약 조건에 관한 전반적인 명세를 정의한 메타데이터의 집합입니다. 거두절미하고 실제 DB를 봅시다 create schema myschema;로 생성된 스키마는 데이터를 그룹화하여 네임스페이스같은 역할을 합니다.스키마는 여러개를 생성할 수 있고스키마가 다르면 테이블 명을 똑같이 할 수 있습니다.(물론 헷갈리니 그렇게 하진 않겠지만) 그럼 외부 스키마, 내부 스키마, 개념 스키마는 무엇이냐그냥 "개념적으로 나눈 것"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.실제.. 2024. 2. 14. 이전 1 ··· 4 5 6 7 8 9 10 ··· 26 다음 728x90 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