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 반응형 batch2 batch insert하기 Spring Data JPA saveAll() vs 네이티브 쿼리 두 방식의 가장 큰 차이는 영속성 컨텍스트 사용 유무(메모리)와 동작 방식. Spring Data JPA에서 saveAll(Iterable)은 내부적으로 하나하나 save()를 호출하는 구조.for문 돌면서 persist(insert) 또는 merge(update)를 반복. ??? : saveAll 안쓰고 네이티브 쿼리 써도 @Transactional 을 쓰기 때문에 jdbc 버퍼에 저장되니까 메모리 쓰는건 똑같지않아? List list = createMillionEntities(); // 100만 개 생성myRepository.saveAll(list); saveAll()은 단순히 SQL만 실행하는 게 아니라 다음을 함1. 엔티티 객체 생성2. 모두 영속성 컨텍스트에 등록3. 변경 여부 추적(더티 .. 2025. 4. 4.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 Chapter3 - 신경망 퍼셉트론에서 보았던 위 식을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.여기서 쓰인 h(x) 를 activation function (활성화 함수) 라고 부른다.위 식은 step fucntion (계단 함수) 하고 하며정리하면"퍼셉트론에서는 활성화 함수로 계산함수를 이용한다" 가 된다.활성화 함수는 step func, ReLU, sigmoid, softmax, tanh 등 여러가지가 있으며 nonlinear 하다는 특징이 있다. sigmoid 함수 x가 커지면 h(x) = 1 작아지면 h(x) = 0 hidden layer 에서는 activation function 으로 ReLU 를 주로 사용한다. 아웃풋의 종류가 classification (분류) 인 경우 마지막에 - 두가지만 나누는 binary 의 경우 주.. 2022. 6. 14.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