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ettings - build, excution, deployment - build tools - gradle 에 들어가면 Gradle과 Intellij IDEA 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.
차이점
Gradle
- Gradle 로 build, run, test
- 전체 빌드하기 때문에 속도가 느림
Intellij IDEA
- build, run 은 IntelliJ IDEA의 내장 빌드 시스템
- test 는 Junit Test Runner 사용
- 증분 컴파일(수정된 파일만 재컴파일) 하기 때문에 속도가 빠름
gradle로 테스트하면 edit configuration에 세팅한 VM options 를 못 읽습니다.
DB 접속정보를 jasypt로 암호화해놓았고,
VM options에 jasypt.encryptor.password 를 세팅해놨는데 못읽으니 DB 접속이 안됩니다.
그렇다고 build.gradle에 systemProperty "jasypt.encryptor.password", "***" 를 박아넣고 push 할 수는 없으니까요.
gradle로 하면 reporting도 해주고 index.html도 자동으로 만들어줘서 결과를 볼 수 있으니 좋긴 하지만 어쩔 수 없습니다.
intellij IDEA(junit test runner) 로 테스트하고, 이걸로도 결과 html 뽑을 수 있습니다.
export test results 누르면 됩니다.
근데 이걸로 html 다운받으면 희한하게 springboot 로그를 같이 출력합니다.. (왜 이렇게 만들었냐 JetBrains)
그래서 인터넷 뒤져보다가 github에서 이 html을 만드는 xsl 파일을 찾았습니다. (올려주신분 압도적 감사)
xsl 처음봤습니다.
그래서 그 xsl 파일을 수정해서 로그 출력 안하게 하고, 글씨 크기 바꾸고 깔끔하게 바꿨습니다. (한줄로 간단하게 썼지만 이 과정도 매우 오래걸렸습니다.. 어디서 어떻게 출력하는지 명시되어있지 않고 숨겨져 있어서 찾는데 한참 걸림)
export test results 할 때 custom, apply XSL template 선택해서 이 수정한 xsl로 뽑으면 됩니다.
로그가 깔끔하게 없어졌습니다.
참고
https://www.jetbrains.com/help/idea/work-with-tests-in-gradle.html#configure_gradle_test_runner
'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기타 저장 글 (0) | 2024.06.21 |
---|---|
디스크, 파티션, 볼륨이란?(feat. 볼륨이 뭔데?) (1) | 2023.09.20 |
Intellij에서 git clone을 받았는데 프로젝트가 갈색으로 표시된다. (0) | 2022.10.18 |
주소창에 url을 치면 어떻게 될까? (0) | 2022.09.02 |
댓글